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존관계 자동주입
    스프링 2022. 12. 22. 22:11

    의존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가 있다.

    1. 생성자 주입
    2. 수정자 주입(setter)
    3. 필드주입
    4. 일반 메소드 주입

    생성자 주입

    이때까지 해왔던 방법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MemberServiceImpl를 컴포넌트 스캔을 하고 스프링 빈에 등록이 될때 생성자의 AutoWired를 보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MemberRepository를 꺼내와서 주입한다.
    생성자를 제외하고 외부에서 절대로 이를 수장할 수 없는 방법이 없다.

    • 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을 보장
    •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생성자가 한개만 있으면 @AutoWired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필드 주입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Override
        public void join(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
    }
    • 코드가 간결해서 많은 개발자들을 유혹하지만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서 테스트 하기 힘들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 DI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일반메소드주입

    setter주입과 비슷한 타이밍에 주입.

    • 한번에 여러 필드를 주입 받을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스프링 빈이어야 동작한다.
      빈이 아닌 다른 클래스에서 @AutoWired를 해도 아무 기능도 동작하지 않는다.

    Setter주입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MemberServiceImpl를 bean등록을 하고, 연관관련이 걸려있는 것들을 자동 주입한다.(AutoWired가걸려있는 것들을 자동주입한다.) setter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드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생성자 주입은 bean을 등록할때 자동으로 등록이 되는데, setter는 bean을 등록한 이후 주입하는 단계에서 일어난다.

    • 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 MemberRepository가 스프링 빈에 등록이 안되었을 수 있어도 주입이 가능하다.

     

    ---------------------------------------------------------------------------------------------------------------------------------

    옵션처리

    주입할 스프링 빈이 없어도 동작해야 할때가 있다.

    @Autowired만 사용하면 required 옵션의 기본값이 true 로 되어 있어서 자동 주입 대상이 없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Test
        void autoWiredOption(){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Bean.class);
            
        }
    
        static class TestBean {
            @Autowired(required = false)
            public void setNoBean1(Member noBean1) {
                System.out.println("noBean1 = " + noBean1);
            }
            
            @Autowired
            public void setNoBean2(@Nullable Member noBean2) {
                System.out.println("noBean2 = " + noBean2);
            }
    
            @Autowired
            public void setNoBean3(Optional<Member> noBean3) {
                System.out.println("noBean3 = " + noBean3);
            }
        }

    @Autowired(required = false)는 의존 관계가 없으면 메소드 자체가 호출이 안된다.

    따라서 위와같은 결과가 출력이 된다.

    default는 true인데 true가 되는순간 오류가 생기게 된다.

    @Nullable은 호출은 되지만 값이 없으면 null이 들어오게 된다.

     

    ---------------------------------------------------------------------------------------------------------------------------------

    대부분 DI프레임워크는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된다.(불변해야 한다.)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XXX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한다.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 도 있고, 변경하면 안되는 메서드를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 방법이 아니다.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다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다음처럼 주입 데이터를 누락 했을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IDE에서 바로 어떤 값을 필수로 주입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final키워드를 세팅을 할 수 있다. 또한 실행시 오류를 단번에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생성자를 통해 주입 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게하면 생성자도 만들어야되고, 주입받는 값을 대입하는 코드를 만들어야한다.

     

    많이 번거럽고 귀찮다면 롬복을 사용하자!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원래 코드에는 생성자를 통해 필드에 있는 저 객체들을 주입받았다. 하지만 현재 코드를 보면 그 부분이 제외가 되었고,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 final은 필수값이므로, final이 붙은 것에 대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매우 편리!

     

    하지만,,, 타입이 여러개인 객체를 주입받을때, 타입이 여러개면 당연히 오류가 난다. 이럴대의 해결법을 알아보자.

     

    1. @Autowired필드명 매칭

    @Autowired는 타입 매칭을시도하고, 여러개의 빈이 있으면, 필드이름, 파라미터 이름으로 빈 이름을 추가 매칭한다 즉, 타입이 같은 것들이 여러개 있으면, 필드명이 매칭된 대상을 가져온다.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이렇게 필드명을 구성해주면 대상 빈을 하나 가져올 수 있다.

    • 필드 명 매칭은 먼저 타입 매칭을 시도하고 그 결과에 여러 빈이 있을 때 추가로 동작하는 기능

    2. @Quilifier 사용

    Quilifier는 추가 구분자를 붙여주는 방법이다. 주입시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지, 빈 이름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Component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Qualifier("main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파라미터네 추가로 찾을 수 있는 Qualifier를 하나 더 붙여서 찾는것이다.
    이때 Qulifier로도 찾지 못하면 mainDiscountPolicy이라는 이름의 빈을 찾는다. 필드, setter모두 가능하다.

     

    3. @Primary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빈 매칭이 여러개가 되면 @Primary가 우선권을 가진다.

    @Component
    @Primar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같은 타입이 여러개 있어도 Primary인 RateDiscountPolicy가 주입이 된다.

    728x90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깅  (0) 2022.12.23
    빈스코프  (0) 2022.12.22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  (0) 2022.12.22
    싱글톤 컨테이너  (0) 2022.12.22
    IOC,DI,컨테이너  (0) 2022.12.19

    댓글

Designed by Tistory.